서울특별시장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서울특별시의 수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60년 김상돈이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민선 시장이 선출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조순이 당선되었으며, 이후 고건, 이명박, 오세훈, 박원순 등이 시장을 역임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오세훈이 당선되었고,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김상돈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 이후 서울특별시장은 다시 관선으로 바뀌었다.[1] 이후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되면서 민선 서울특별시장이 다시 선출되기 시작했다.
2. 역대 민선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 시장 1960년 민주당 김상돈 1995년 민주당 조순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고건 2002년 한나라당 이명박 2006년 한나라당 오세훈 2010년 2011년 무소속 박원순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2018년 더불어민주당 2021년 국민의힘 오세훈 2022년
3. 역대 선거 결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조순 후보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고건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오세훈 시장의 사퇴로 치러진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당선되었고, 이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다.
박원순 시장의 사망으로 치러진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당선되어 서울특별시장직에 복귀했으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어 4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다.선거명 당선인 정당 득표율(%) 주요 경쟁 후보 정당 득표율(%)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김상돈 민주당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순 민주당 42.35 박찬종 무소속 33.5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건 새정치국민회의 53.46 최병렬 한나라당 43.99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명박 한나라당 52.28 김민석 새천년민주당 43.02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세훈 한나라당 61.05 강금실 열린우리당 27.31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세훈 한나라당 47.43 한명숙 민주당 46.83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박원순 무소속 53.40 나경원 한나라당 46.2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박원순 새정치민주연합 56.12 정몽준 새누리당 43.0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박원순 더불어민주당 52.79 김문수 자유한국당 23.34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오세훈 국민의힘 57.50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39.1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세훈 국민의힘 59.05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39.23
3. 1.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김상돈 후보가 서울특별시장으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 이후 서울특별시장는 다시 관선으로 선출하도록 바뀌었다.
3. 2.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당인 민주자유당은 정원식 전 국무총리를 후보로 선출했으며, 민주당에서는 부총리를 맡았던 영입인재인 조순이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후보로 선출되었다.[1] 한편 신정치개혁당을 이끌었던 박찬종이 무소속으로 서울시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으며, 국회의원을 지냈던 황산성, 김옥선도 출마하였다.
본 선거 결과 민주당 조순 후보가 서울특별시 내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면서 서울특별시장으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찬종 후보가 33.51%의 득표율을 올리면서 2위를 차지했고, 민주자유당의 정원식 후보는 20.67%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조순 민주당 2,051,441 42.35 박찬종 무소속 1,623,356 33.51 정원식 민주자유당 1,001,446 20.67 황산성 무소속 97,709 2.01 박홍래 친민당 25,054 0.51 김옥선 무소속 17,728 0.36 고순복 통일한국당 10,488 0.21 김명호 무소속 9,992 0.20 정기용 무소속 6,156 0.12 합계 4,843,370 100
3. 3.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는 문민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던 고건을 후보로 선출했다. 한나라당은 서초구 갑의 현역 국회의원인 최병렬을 후보로 선출하였다. 이외에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대한정의당 소속으로 출마를 했던 이병호 변호사가 무소속으로 출마를 선언했다.
고건 후보는 53.46%의 득표율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한나라당의 최병렬 후보는 43.99%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3. 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고건 서울시장은 불출마를 선언했다.[2]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서는 경선을 통해 현직 영등포구 을 국회의원인 김민석을 후보로 선출했다. 한나라당에서는 종로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던 이명박을 후보로 선출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52.2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3.02%의 득표율을 기록한 새천년민주당 김민석 후보를 제치고 제32대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이명박 | 1,819,057 | 52.28% |
새천년민주당 | 김민석 | 1,496,754 | 43.02% |
민주노동당 | 이문옥 | 87,965 | 2.52% |
무소속 | 이경희 | 34,313 | 0.98% |
녹색평화당 | 임삼진 | 28,034 | 0.80% |
사회당1998 | 원용수 | 12,982 | 0.37% |
합계 | 3,479,105 | 100% |
3. 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2005년, 이명박 서울특별시장은 차기 지방선거에 불출마할 것을 선언했다.[3]여당인 열린우리당은 참여정부에서 법무부장관을 지냈던 강금실을 후보로 선출했다. 한나라당은 경선을 통해 강남구 을 지역구에서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오세훈을 후보로 선출했다. 민주당은 제16대 국회의원인 박주선을 전략공천했으며,[4] 민주노동당은 김종철 전 최고위원을,[5] 국민중심당은 성악가 임웅균을 후보로 선출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가 61.05%의 득표율로 제33대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강금실 후보는 27.31%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위로 낙선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세훈 | 한나라당 | 2,409,760 | 61.05% |
강금실 | 열린우리당 | 1,077,890 | 27.31% |
박주선 | 민주당 | 304,565 | 7.71% |
김종철 | 민주노동당 | 117,421 | 2.97% |
임웅균 | 국민중심당 | 14,111 | 0.35% |
백승원 | 무소속 | 13,808 | 0.34% |
이귀선 | 시민당 | 4,790 | 0.12% |
이태희 | 한미준 | 4,481 | 0.11% |
3. 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당 한명숙 후보와 초접전 끝에 신승을 거두었다. 진보신당 노회찬 후보도 출마했다.[6]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재선을 선언했고, 한나라당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한나라당 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다. 민주당은 참여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냈던 한명숙이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다. 민주노동당에서는 이상규 후보가 출마를 준비했으며, 선거를 앞둔 5월 12일 한명숙 후보와 단일화를 선언했다.[7] 다만 진보신당의 노회찬 후보는 단일화에 응하지 않고 완주를 결정했다.
개표 과정은 박빙이었다.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오세훈 후보가 47.4%, 한명숙 후보가 47.2%를 얻을 것으로 보아 접전이 예상되었다.[8] 개표 초반 오세훈 후보가 우세했으나 자정 이후 한명숙 후보가 역전에 성공하면서 한명숙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는 듯 보였으나, 새벽 시간대 미개표되었던 강남 지역의 투표함에서 오세훈 후보에게 몰표가 나오면서 오세훈 후보가 역전승을 거두면서 당선을 확정했다.[9] 최종 개표 결과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는 47.43%, 한명숙 후보는 46.83%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두 후보 간의 득표율 격차는 0.8%p에 불과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세훈 | 한나라당 | 2,086,127 | 47.43% |
한명숙 | 민주당 | 2,059,715 | 46.83% |
노회찬 | 진보신당 | 143,459 | 3.26% |
지상욱 | 자유선진당 | 90,032 | 2.04% |
석종현 | 미래연합 | 18,339 | 0.41% |
합계 | 4,397,672 | 100% |
3. 7.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가 투표율 미달로 개표되지 않자,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다.[10]한나라당은 나경원 의원을 후보로 내세웠다. 민주당에서는 박영선 의원을 후보로 선출했으며, 민주노동당은 최규엽을 후보로 공천했다. 한편 안철수 서울대학교 교수가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박원순 변호사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이후 박영선, 박원순, 최규엽 후보는 단일화 경선을 통해 박원순 후보를 야권 단일 후보로 선출했다.[11]
선거 결과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53.40%의 득표율로 제35대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3. 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현직 서울특별시장인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가 재선에 도전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박원순을 단수공천했다.[12] 새누리당은 경선을 통해 동작구 을 국회의원인 정몽준을 후보로 확정했다.[13]선거 결과,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가 56.12%의 득표율로 제36대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는 43.02%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원순 | 새정치민주연합 | 2,752,171 | 56.12 |
정몽준 | 새누리당 | 2,109,869 | 43.02 |
정태흥 | 통합진보당 | 23,638 | 0.48 |
홍정식 | 새정치당 | 17,603 | 0.35 |
합계 | 4,903,281 | 100.00 |
3. 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에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3선 도전에 나섰다.[14] 자유한국당은 경기도지사를 지낸 김문수를 공천했고,[15] 바른미래당은 안철수 전 대표가 출마를 선언했다.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52.79%의 득표율로 3선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는 23.34%로 2위,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는 19.55%로 3위를 기록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원순 | 더불어민주당 | 2,619,497 | 52.79 |
김문수 | 자유한국당 | 1,158,487 | 23.34 |
안철수 | 바른미래당 | 970,374 | 19.55 |
신지예 | 녹색당 | 82,874 | 1.67 |
김종민 | 정의당 | 81,664 | 1.64 |
김진숙 | 민중당2017 | 22,134 | 0.44 |
우인철 | 우리미래 | 11,599 | 0.23 |
인지연 | 대한애국당 | 11,222 | 0.22 |
최태현 | 친박연대2012 | 4,021 | 0.08 |
3. 10.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이 2020년 7월 10일 북악산 숙정문 부근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면서 치러지게 되었다.더불어민주당은 박영선 중소기업벤쳐부 장관을 공천했으며, 국민의힘에서는 전직 서울시장을 지냈던 오세훈을 공천했다. 정의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 국민의당 대표 안철수, 열린민주당 국회의원 김진애, 시대전환 조정훈도 출마했으나, 안철수는 오세훈과, 조정훈과 김진애는 박영선과 단일화했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57.50%의 득표율로 10년 만에 서울특별시장직에 복귀했다. 오세훈 후보는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승리했다.[16]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39.18%로 2위를 기록했다.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는 1.07%로 3위를 차지해 화제를 모았다.[17]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세훈 | 국민의힘 | 2,798,788 | 57.50% |
박영선 | 더불어민주당 | 1,907,336 | 39.18% |
허경영 | 국가혁명당 | 52,107 | 1.07% |
김진아 | 여성의당 | 33,421 | 0.68% |
신지혜 | 기본소득당 | 23,628 | 0.48% |
신지예 | 무소속 | 18,039 | 0.37% |
송명숙 | 진보당2017 | 12,272 | 0.25% |
이수봉 | 민생당 | 11,196 | 0.23% |
오태양 | 미래당 | 6,483 | 0.13% |
정동희 | 무소속 | 1,874 | 0.03% |
이도엽 | 무소속 | 1,664 | 0.03% |
배영규 | 신자유민주연합 | 634 | 0.01% |
3. 1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에서는 현직 시장인 오세훈 후보가 4선에 도전, 국민의힘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인천광역시장을 지낸 송영길 후보를 공천했다.선거 결과, 오세훈 후보가 59.05%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4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다. 특히 지난 보궐선거에 이어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송영길 후보를 이기는 압승을 거두었다.[18] 송영길 후보는 39.23%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오세훈 | 국민의힘 | 2,608,277 | 59.05 |
송영길 | 더불어민주당 | 1,733,183 | 39.23 |
권수정 | 정의당 | 53,840 | 1.21 |
신지혜 | 기본소득당 | 12,619 | 0.28 |
김광종 | 무소속 | 9,000 | 0.20 |
참조
[1]
뉴스
새 서울시장 조순 그는 누구인가
https://www.hankyung[...]
[2]
뉴스
고건 시장, 서울시장 불출마
https://news.kbs.co.[...]
[3]
뉴스
이명박 '내년 서울시장 절대 불출마'
https://world.kbs.co[...]
[4]
뉴스
민주, 서울시장 후보에 박주선 전략공천
https://www.hani.co.[...]
[5]
뉴스
민주노동, 김종철 전 최고위원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
https://www.hani.co.[...]
[6]
뉴스
오세훈, 서울시장 재선 도전 선언
https://n.news.naver[...]
[7]
뉴스
한명숙-이상규,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합의
https://www.asiae.co[...]
[8]
뉴스
오세훈 47.4 vs 한명숙 47.2%
https://news.mt.co.k[...]
[9]
뉴스
'수도권은 지켰다' 한나라당 광역단체장 신승
https://www.mbn.co.k[...]
[10]
뉴스
오세훈 시장 사퇴…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https://news.kbs.co.[...]
[11]
뉴스
박원순 야권단일후보 선출과 `안철수 효과`
https://www.yna.co.k[...]
[12]
뉴스
새정치연합 광역후보 접수마감, 서울 박원순 사실상 확정
https://www.sisafocu[...]
[13]
뉴스
새누리 서울시장 후보 정몽준…박원순과 맞대결
https://n.news.naver[...]
[14]
뉴스
박원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66.26%득표
https://www.newspim.[...]
[15]
뉴스
한국당, 서울시장 '김문수 카드'로 보수결집 승부수(종합)
https://www.yna.co.k[...]
[16]
뉴스
서울·부산 與 대참패…오세훈, 25개구 싹쓸이 압승(종합2보)
https://www.yna.co.k[...]
[17]
뉴스
서울시장 선거 3위는 허경영
https://www.hani.co.[...]
[18]
뉴스
오세훈, 첫 4선 서울시장…59% 득표 당선(종합2보
https://www.yna.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